본문 바로가기
취미/식물

당근으로 식물 거래 할 때 주의점! 식물 개인거래 시 주의점

by Lucia, the otter 2024. 2. 23.
반응형

나는 당근으로 식물 거래를 자주 하는 편이다.

사실 가격은 인터넷에서 사는것과 크게 차이나지는 않지만 배송비가 들지 않기 때문에 가까운 곳에서 내가 키우고 싶었던 식물을 팔면 가서 사오곤 한다.

 

지금까지 거래는 한 5번 정도 했는데 이 중에 두 번은 병충해가 있는 식물이었다.

화원에서 키우는 것은 계속 약을 쳐 주기 때문에 병충해 걱정이 좀 적지만 개인이 키우는 것은 병충해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리고 개인이기 때문에 이게 병해인지 모르고 키우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 화원에서는 출고 전 방제 서비스를 해 주는 곳도 있다. 

 

아래는 병충해 있었던 식물을 거래했던 경험이다. 

 

1. 스킨답서스와 필로덴드론 미칸:

이 친구들을 데려 온 뒤 며칠 뒤 뿌리파리가 날아다녀 물리공격으로 퇴치하고 전부 수경으로 돌렸다. 내 순발력이 조금 낮아서 뿌리파리를 놓쳤었다면... 그래서 그 친구가 자손을 온 집안 화분 전체에 퍼트렸다면? 상상만해도 끔찍하다.

 

미칸 당시 사진

2. 바질 분재: 

이 친구는 사진을 찍어둔게 없다. 가져올 때 부터 상태가 영 좋지 않아 보였는데 잘 보니 잎에 병충해가 있었다. 응애였던 것 같다. 충해가 있는 부분을 몇번 잘라냈는데 전체적으로 퍼져있어서 결국 양 쪽 가지를 자르고 중간의 새 잎이 돋아나게 하려고 했다. 줄기는 알콜솜으로 닦아주고... 결과적으로 식물은 초록별로 떠났다. 살충제를 쓸 수도 있었고 잘라내지 않고 잎을 닦아주면서 계속 키울수도 있었겠지만 새우와 물고기가 있기 때문에 살충제를 쓰는데 조심스러웠고... 잎을 닦아주면서 키우는 것도 다른 식물에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이 친구를 참수형에 처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결론이긴 했다.

 

당근에서 사진을 가져왔는데 왠지 영정사진 느낌이 난다.

 

 

사실 개인 거래에서 이를 완벽히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래도 최대한 방지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물꽃이 삽수 구매

2. 화분의 경우 구매 후 흙을 전부 버리고 수경으로 운영 1~2주 정도 하다가 다시 화분에 심기

3. 다른 화초들 옆에 두기 전에 방역(살충제 및 흙 소독) 

 

 

반응형